대학원 백서 (3)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학원 백서 - 대학원 진학을 위한 준비, 컨택, 인턴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대학원 입학을 준비하시나요? 대학원 진학을 생각중인데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궁금하신가요? 혹은 그런 지인이 주변에 있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본격적으로 대학원 입학 절차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단, 국내 대학 기준이며, S대 공대 박사과정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했음을 먼저 밝힙니다). 컨택 관련한 팁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우선 대학원에 진학할 만한 학점, 영어성적, 유사 프로젝트 경험 (과 수업 프로젝트라도 괜찮습니다), 기본적인 코딩 스킬 등은 스스로 잘 만드셨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대학원 역시 학부와 마찬가지로 원서 접수와 면접을 통해 학생을 선발하지만, 이젠 다들 아시듯 사전 컨택과 인턴 (학부연구생) 경험이 반 필수입니다. 사전 컨택을 위해 빠르게는 3학년 때, 보통은 입학 전 학기에 교수.. 대학원 백서 - 대학원이 적성에 맞고 잘 적응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요? 대학원 진학을 염두에 두고 있나요? 대학원에 지원하셨나요? 그렇다면, 자신이 대학원에서 잘 적응하고 대학원 생활이 적성에 맞을 사람인지에 대한 고민도 하셨을 것입니다. 대학원 진학은 앞으로 짧으면 2년, 길면 10년 가까이 있을 곳을 결정하는 선택이자, 대학원에서 이룬 실적이 앞으로의 인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될 삶의 흔적이니까요. 나름 박사 졸업자로서, 대학원 적응에 필요한 자질이 무엇일지에 대해 고수분들의 의견과 저의 소견을 더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좀 길 수 있지만, 글을 읽고 쓰는 공간인 대학원 진학을 염두에 두신 분들이라면 충분히 소화하실 수 있는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던 것들’의 저자이신 권창현 교수님께서는 ‘좋은 학생, 나쁜 학생, 이상한 학생 (2)’ .. 대학원 백서 - 대학원에선 무엇을 하나요? 대학원 진학을 위해 지원하신 분들, 대학원에 관심 있으신 분들, 대학원에 막 입학하신 분들께서는 모두 근본적인 질문 하나를 머릿속에 갖고 계실 겁니다. “대학원에선 무엇을 하나요?” “대학원 생활은 어떻게 되나요?” 당장 대답한다면, 누구나 “연구를 합니다” 라고 하겠지요. 조금 더 길게 대답하시는 분들은 “지도교수 밑에서 연구실의 인프라를 이용해 연구를 해서 논문을 쓰고 학위를 받습니다” 라고 할 겁니다. 하지만 박사학위를 마친 제가 되돌아볼 때, 이런 질문을 하시는 분들께선 훨씬 다양한 것들을 궁금해하실 것 같습니다. 대학원에서 하는 것에 대해 연구 말고도, 혹은 연구에 필요한 구체적인 활동들을 이것저것 많이 들어보셨을 테니까요. 아래와 같이 말이죠. * 대학원에서는 물론 연구를 합니다. 그 연구를 .. 이전 1 다음